長鼓), 세요고(細腰鼓)
[국립국악원 소장] 동영상
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리듬악기의 하나. 허리부분이 잘록한 모양의 북이나 긴 북통의 양편에 가죽을 붙인 형태의 북은 중앙아시아 등 서역지역에 널리 퍼져 있었다. 우리나라의 장구는 고려 때 중국 송나라에서 수입되어 조정의 당악(唐樂) 연주에 쓰인 것이 처음이다.
장구의 몸통은 나무로 만들며, 풍물에 쓰이는 것은 나무의 결을 그대로 살리고, 풍류에 쓰이는 것은 주로 붉은
칠을 한다. 왼편(북편)은 흰 말가죽, 오른편(채편)은 생마피로 만들었다고 하나, 오늘날에는 북편은 쇠가죽, 채편은 말가죽으로 만든다. 채편은
대나무를 가늘게 깎은 ‘열채’로 치고, 북편은 맨손이나 궁굴채로 친다.